개인사업자가 법인으로 전환해야 하는 이유는 처지에 따라 다르겠지만, 세금 측면에서는 뚜렷하게 알 수 있다.

아래 사례는 연소득 5억 원인 어느 개인사업자의 경우를 분석하여 비교함으로써 법인전환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내용이다.

 

[사례] 연소득 5억원 기준 (2024년 세법 기준)

1. 개인사업자 (종합소득세)

종합소득세 계산

  • 과세표준: 5억원 (소득공제 후 기준)
  • 세율구간별 계산:
    • 1,400만원 이하: 1,400만원 × 6% = 84만원
    • 1,400만원 초과 ~ 5,000만원: 3,600만원 × 15% = 540만원
    • 5,000만원 초과 ~ 8,800만원: 3,800만원 × 24% = 912만원
    • 8,800만원 초과 ~ 1억5천만원: 6,200만원 × 35% = 2,170만원
    • 1억5천만원 초과 ~ 3억원: 1억5천만원 × 38% = 5,700만원
    • 3억원 초과 ~ 5억원: 2억원 × 40% = 8,000만원

종합소득세 산출세액: 17,406만원

지방소득세 (종합소득세의 10%)

  • 17,406만원 × 10% = 1,741만원

총 세금 (개인사업자)

  • 종합소득세 + 지방소득세 = 19,147만원
  • (약 1억 9,100만원)

2. 법인사업자

2-1. 법인세 계산

가정: 법인 소득 3억원, 대표 급여 2억원

  • 과세표준: 3억원
  • 세율구간별 계산:
    • 2억원 이하: 2억원 × 9% = 1,800만원
    • 2억원 초과 ~ 200억원: 1억원 × 19% = 1,900만원

법인세 산출세액: 3,700만원

지방소득세 (법인세의 10%)

  • 3,700만원 × 10% = 370만원

법인 관련 총 세금: 4,070만원

2-2. 대표 급여에 대한 소득세

급여소득: 2억원 (연봉)

소득공제 적용 후 과세표준: 약 1억 8,500만원 (급여소득공제, 인적공제, 표준공제 등 적용)

종합소득세 계산:

  • 1,400만원 이하: 84만원
  • 1,400만원 초과 ~ 5,000만원: 540만원
  • 5,000만원 초과 ~ 8,800만원: 912만원
  • 8,800만원 초과 ~ 1억5천만원: 2,170만원
  • 1억5천만원 초과 ~ 1억8천5백만원: 3,500만원 × 38% = 1,330만원

개인 소득세 산출세액: 5,036만원

지방소득세 (소득세의 10%)

  • 504만원

개인 관련 총 세금: 5,540만원

법인 총 세금

  • 법인 관련 세금 + 개인 관련 세금
  • 4,070만원 + 5,540만원 = 9,610만원
  • (약 9,610만원)

3. 세금 절약 효과

구분 개인사업자 법인사업자 절약액
총 세금 1억 9,147만원 9,610만원 9,537만원

절약률: 약 50% (9,537만원 ÷ 19,147만원)


4. 주요 근거 법령

소득세법

  • 제55조: 종합소득세 세율
  • 제56조: 세율구간별 계산

법인세법

  • 제55조: 법인세 세율 (2억원 이하 9%, 2억원 초과~200억원 19%, 200억원 초과 22%)
  • 제56조: 과세표준 구간

지방세법

  • 제71조: 지방소득세율 (소득세·법인세의 10%)

5. 참고사항

  1. 실제 계산 시 고려사항:
    • 각종 소득공제 및 세액공제
    • 사업용 경비 처리 차이
    • 퇴직급여충당금 등 법인 특화 공제
  2. 법인 전환 시 추가 고려사항:
    • 법인 설립비용
    • 회계/세무 관리비용 증가
    • 사회보험료 부담
  3. 2024년 세법 기준이며, 매년 세율이 변경될 수 있음

결론: 고소득 구간에서는 법인 전환을 통해 상당한 세금 절약이 가능하지만, 개별 상황에 따른 정확한 세무 상담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