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시· 취득자 현황부터 취업률, 구인 건수, 임금 정보까지 한쪽(1페이지)에 제공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은 국민의 진로 설계와 경력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국가기술자격(한국산업인력공단 시행 497종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종목별 분석정보를 큐넷(Q-net, www.q-net.or.kr)에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종목별 원페이지(One-page) 분석 종합 정보”는 종목별 국가기술자격의 응시인원 추이, 응시자 및 취득자의 통계(성별, 연령, 학력, 응시목적, 경제활동 상태 등), 노동시장 활용 통계(재직자 비율, 취업률 등), 채용공고 분석(구인건수 및 인원, 제시임금 평균 등/ 고용24 기준) 등을 한쪽에 종합하여 한눈에 종목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 시행(’22.1.27.)됨에 따라 최근 관심이 높아진 ‘산업안전기사’ 국가기술자격 종목을 예시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망한 자격일까, 난이도는?
‘산업안전기사’는 최근 6년간(2017~2023년) 취득자가 꾸준히 늘어 3.6배 증가했다. 또한, 필기 합격률은 51.1%, 실기 합격률은 54.3%로 전체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평균 합격률: 필기 44.1%, 실기 43.25%, 23년 기준).
누가 응시할까, 우대내용은?
응시자 특성을 살펴보면 남성(84.3%)이 주로 응시했고, 연령은 20대(40.6%)가 가장 많았다. 학력은 대학교(65.5%), 응시목적으로는 취업(29.4%)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접수 당시 재직 중인 응답자(65.3%) 중 42.7%가 1,000인 이상 사업장에 근무하고, 70.3%가 직장 내에서 해당 자격을 우대한다고 응답했고, 직장 내 자격 우대 내용으로는 채용 시(62.3%), 임금향상(18.4%) 순이었다.
취업에 유리할까, 준비는 어떻게?
‘산업안전기사’ 건강보험 분석 결과 |
2023년
취득자 |
취득당시 | ‘24.7월 말 조회기준 | ||||
재직자 |
재직률 | 비재직자 | 비재직률 | 취업인원 |
취업률 |
||
28,636 명 | 20,447 명 | 71.4% | 8,174 명 | 28.5% | 5,348 명 |
65.4% |
※ 취득자 중 15명은 개인정보 변경 등으로 인해 조회 불가
‘산업안전기사’는 취득일 당시 재직 비율이 71.4%로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산업안전기사는 ‘재직자들의 필요’에 따라 일과 학습을 병행하며 취득한 산업현장 적합성이 높은 자격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미취업 상태에서 1년 이내 취업한 사람은 65.4%로 1년 이내 평균 취업률 47.5%(2023년 기준)보다 높아 ‘산업안전기사’ 자격 취득이 실제 취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격취득자는 온라인, 학원 및 훈련기관보다는 출판물(서적)을 이용(65.9%)하여 시험을 준비한 것으로 응답했다.
얼마나 채용하고, 월급은?(2023년 ‘고용24’ 채용공고 기준)
‘산업안전기사’ 채용공고 분석 결과 |
구인건수 |
구인건수 순위 | 구인인원 | 구인인원 순위 | 제시임금 평균 |
1,993 | 12/436 종목 | 3,130 명 | 12/436 종목 |
300 만원 |
※ 채용공고에 활용된 국가기술자격 종목수 436종목
‘고용24’에 등록된 ‘산업안전기사’ 우대 채용공고(2023년 기준)는 1,993건, 채용 예정 인원 규모는 3,130명으로 기업이 제시한 월평균 임금은 300만원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국가기술자격 종목별 분석정보는 실제 산업현장에서 자격이 얼마나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쉽고 편하게 접할 수 있어, 진로를 고민하거나 경력 전환을 계획하는 국민에게 새로운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용노동부 임영미 직업능력정책국장은 “국가기술자격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취업, 창업 및 경력개발 등 자신에게 맞는 국가기술자격을 선택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고용노동부는 앞으로도 국민에게 필요한 양질의 국가기술자격 정보 제공을 위해 다각도로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출처: 고용노도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