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공백기는

국민연금 개시 전까지 일정 기간 동안 소득이 없는 시기로,

이 시기를 안정적으로 보내기 위해서는 철저한 재무적 준비가 필요합니다.

준비는 늘 빠를수록 좋지만,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꼭 늦은 것 만은 아닌 것 같습니다.

지금부터라도 하나 하나 조금씩 준비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다음은 소득공백기를 대비할 수 있는 재무 전략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현금 유동성 확보

  • 비상자금 마련: 최소 6개월에서 1년치 생활비를 현금이나 단기 금융상품(예: CMA, MMF)에 보관합니다.
  • 정기예금 및 적금 활용: 안정적인 수익과 원금 보장을 위해 정기예금, 적금을 활용하여 생활비를 마련합니다.

2. 퇴직연금 전략적 활용

  • IRP(개인형퇴직연금) 활용: 퇴직 시 일시금 대신 연금 형태로 수령하면 세제 혜택과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제공합니다.
  • DB·DC형 퇴직금 수령 시기 조정: 국민연금 개시 전까지 퇴직연금을 분할 수령하여 소득공백을 메울 수 있습니다.

3. 연금 상품 다각화

  • 개인연금보험 및 연금저축계좌: 국민연금 개시 전 수령이 가능하도록 개인연금을 가입해 소득공백을 메웁니다.
  • 즉시연금 가입: 은퇴 시점에 가입하면 즉시 연금을 받을 수 있어 현금 흐름을 안정화할 수 있습니다.

4. 투자 수익 기반의 소득 창출

  • 배당주 투자: 안정적인 배당금을 통해 생활비를 충당합니다.
  • 임대 수익: 부동산 임대 수익으로 현금 흐름을 보강합니다.
  • 저위험 채권 투자: 일정 수익률을 제공하는 채권 상품에 투자하여 현금흐름을 확보합니다.

5. 지출 구조 최적화

  • 생활비 구조 점검: 고정비(주거비, 통신비, 보험료 등)를 줄여 소득공백기에 필요한 최소 생활비를 줄입니다.
  • 보험 리밸런싱: 은퇴 후 필요 없는 보험은 해지하거나 보장 내용을 조정합니다.

6. 공적 지원 및 정부 제도 활용

  • 기초연금 및 각종 복지 혜택 확인: 소득공백기에 받을 수 있는 공적 지원을 미리 파악합니다.
  • 국민연금 조기 수령 여부 검토: 필요할 경우 국민연금을 조기 수령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단, 수령액이 줄어듦).

7. 단기 수익 활동

  • 시간제 일자리 또는 프리랜서 활동: 본인의 경력을 활용한 소득 활동으로 공백기 재정을 보충할 수 있습니다.
  • 컨설팅 및 강의 활동: 은퇴 후 전문성을 활용한 활동으로 현금 흐름을 만듭니다.

 소득공백기를 대비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은퇴 이전부터 다각적인 재무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것입니다.

소득공백기 동안의 예상 지출을 계산하고, 현금 흐름을 맞출 수 있는 수입원을 분산화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봄이 오는 길목이 저기 보입니다.

좋은 님을 기다리는 마음처럼 오늘도 설레는 하루가 되었으면 좋겟습니다.

2025. 2.26.